일시 | 발표 및 내용 | 사회자 |
1부 | 10:00-10:30 | 등록 | 박효근 (세종대) |
개회사 : 문지영(숙명여대, 한국여성사학회장) 축 사 : 이혜령(성균관대, 한국여성문학학회장) 양선숙(경북대, 한국여성철학학회장) |
발표1 10:30-11:10 | 아리스토텔레스의 덕과 정치적 감정으로서의 사랑 발표: 장영란(한국외국어대) | 이선형 (서울대) |
발표2 11:10-11:50 | <죽은 여자와 동침하기> 설화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와 덕(德)의 상관성 발표: 정경민(한국산업기술대) |
11:50-12:10 | 1부 전체토론 |
12:10-13:00 | 점심식사 | |
2부 | 발표3 13:00-13:30 | 모험서사와 여성혐오의 결합과 독서욕망: 웹소설 로맨스판타지 장르에 나타난 성장물의 양가성 발표: 안상원(부산외국어대) | 장영은 (성균관대) |
발표4 13:30-14:00 | 일제강점기 여권 개념과 유교가부장제론 전파에 내재된 국가주의 비판: ‘문중’에서 ‘국가’로 섹슈얼리티 통제장치의 이양 발표: 김미영‧조주영(서울시립대) |
14:00-14:10 | 휴식 |
발표5 14:10-14:40 | 1920-30년대 식민지 조선의 성매매: 연애의 매매 시대와 묵인공창의 확산 발표: 박정애(동북아역사재단) |
14:40-15:10 | 2부 전체토론 |
15:10-15:30 | 휴식 |
3부 | 라운드테이블 15:30-17:30 | 발제1: #문단_내_성폭력 해시태그 운동 4년 (이성미/여성문화예술연합) 발제2: 디지털 시대와 이데올로기적 페미니즘: ‘생물학적 여성’과 비체화의 정치(이현재/서울시립대) 발제3: 전범과 용서, 그리고 일본군 ‘위안부’ 문제에 대한 사유(이선이/을지대) | 홍양희 (한양대) |